(root, query, criteriaBuilder) -> { ... } (root, query, criteriaBuilder) -> { ... }는 Java의 JPA Criteria API에서 사용되는 람다식입니다. 보통 Spring Data JPA에서 동적 쿼리를 만들 때 자주 등장하죠. 각각의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. ✅ rootEntity의 루트 객체입니다.조회하려는 테이블(또는 엔티티)의 정보를 나타냅니다.예: root.get("name") → name이라는 컬럼(필드)을 의미.✅ queryCriteriaQuery 객체입니다.쿼리 전체 구조를 정의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예: query.select(...), query.where(...) 등을 설정할 수 있음.Specificati..
jpa
transient일상 뜻transient : 일시적인, 잠깐 머무는, 지나가는 JPA에서의 뜻transient 상태 = 아직 영속성 컨텍스트에도 없고, DB에도 저장되지 않은 상태 예시 문장: 오류 메시지InvalidDataAccessApiUsageException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- save the transient instance before flushing 즉,new로 객체는 만들었지만아직 save()도 안 했고entityManager.persist()도 안 했고그냥 메모리에만 있는 상태 JPA 객체 생명주기 비교 상태설명transient메모리에만 존재함 (new만 된 상태)persistent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됨 (persist..
참고 링크https://scoring.tistory.com/entry/JPA-양방향-연관관계와-연관관계의-주인-양방향-매핑-정리⭐ JPA 연관 관계 한방에 정리 (단방향/양방향, 연관 관계의 주인, 일대일, 다대일, 일대다, 다대다)본문 바로가기 JPA에서 가장 중요한 것연관 관계 매핑은 그 때 그 때 찾아보기보다는 비즈니스 로직,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따라 개발자가 더 적절한 관계 설정 방법을 선택해야하는 주제이기 때문에 학습하기 위하여 아래에 정리를 했습니다. 연관 관계 정의 규칙연관 관계를 매핑할 때, 생각해야 할 것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.방향 : 단방향, 양방향 (객체 참조)연관 관계의 주인 : 양방향일 때, 연관 관계에서 관리 주체다중성 : 다대일(N:1), 일대다(1:N), 일대일(1:..

기존 양방향JPA 연관관계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거래내역을 조회했을 때, 거래했던 상품들을 보여주고자 했다.Rental 클래스에 주문내역을 보여주고, RentalProducts에서 한 주문내역에 대한 제품들을 보여주도록 관계를 만들었다.💡 양방향 매핑 규칙객체의 두 관계중 하나를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지정연관관계의 주인만이 외래 키를 관리(등록, 수정)주인이 아닌쪽은 읽기만 가능주인은 mappedBy 속성 사용X주인이 아니면 mappedBy 속성으로 주인 지정💡 연관 관계의 주인(Owner) 지정 방법외래키가 있는 곳을 주인으로 지정할것!→ Rental의 객체에서 값을 바꿨는데, RENTALPRODUCTS테이블에 쿼리문이 나가면 혼란스럽다. @OneToMany, @ManyToOne을 사용하여 양방향 매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