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✅ some()
배열 요소 중 하나라도 조건을 만족하면 true
const arr = [1, 2, 3, 0]; const result = arr.some(num => num === 0); // true (0이 있음)
해석: "이 배열에 0이 하나라도 있냐?" → 있다! → true
✅ every()
배열의 모든 요소가 조건을 만족해야 true
const arr = [1, 2, 3, 4]; const result = arr.every(num => num > 0); // true (모두 0보다 큼)
해석: "이 배열의 모든 요소가 0보다 크냐?" → 그렇다 → true
비교 예시:
const arr = [1, 2, 0]; arr.some(n => n === 0); // true (0이 있음) arr.every(n => n !== 0); // false (0이 하나라도 있으니까)
실사용 맥락 (너 코드 기준)
- some((array) => array.length === 0)
→ "하나라도 비어있는 게 있냐?" → 있으면 true (비활성화) - every((array) => array.length !== 0)
→ "전부 다 비어 있지 않냐?" → 모두 채워져야 true (활성화 기준)
'공부 > front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리액트 그래프/차트 라이브러리 모음 (0) | 2025.03.12 |
---|---|
페이지 라우팅 (0) | 2025.03.10 |
MobX6 (0) | 2025.03.03 |
React Context (0) | 2025.02.23 |
?. (옵셔널 체이닝)과 ?? (널 병합 연산자)란? (0) | 2025.02.13 |